연 도 | 날 짜 | 구분 | 주요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2022년 | 2022.06.28 | 제 1호 의안 | ESG 추진과제 현황 보고 | 보고 |
제 2호 의안 | 기부금 승인 기준 정립 | 결의 | ||
2022년 | 2022.12.24 | 제 1호 의안 | ESG 등급평가 및 추진과제 현황 보고 | 보고 |
2023년 | 2023.08.08 | 제 1호 의안 | ESG 추진 활동 현황 보고(상반기 추진실적 및 하반기 추진 계획) | 보고 |
제 2호 의안 | ESG 위원회 규정 개정(위원회 개최 주기) | 결의 | ||
2024년 | 2024.03.13 | 제 1호 의안 | ESG 추진 활동(KPI) 보고 | 보고 |
제 1호 의안 | 환경경영위원회 조직 개편 및 운영규정 제정 | 결의 | ||
제 2호 의안 | 인권경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규정 제정 | 결의 | ||
2024.08.09 | 제 1호 의안 | 리스크 관리체계 및 활동 보고 | 보고 | |
제 2호 의안 | 2024년 상반기 ESG 추진활동 보고 | 보고 | ||
제 1호 의안 | 2024년 하반기 ESG 경영 추진 계획 | 결의 | ||
2024.12.16 | 제 1호 의안 | 2024년 ESG 경영 추진현황 보고 | 보고 | |
제 2호 의안 | 2024년 ESG위원회 하 소위원회 운영실적 보고 | 보고 | ||
제 1호 의안 | 2025년 ESG KPI 추진계획 | 결의 |
[이중 중대성 평가절차]
구분 | [순위] 중대 이슈 | 이슈 설명 | 거버넌스 및 관리체계 | 전략/리스크 관리 | 지표 및 목표 |
---|---|---|---|---|---|
G | [1] 책임있는 제품 생산 및 안전성 제고 |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/임상 참가자 등 안전 보건을 고려한 안전한 의약품 생산 및 품질 경쟁력 강화 | 약사법,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(GMP) 조직도 |
제품 불만 모니터링 | 불만 건수 (Parts per Million) |
G | [2] 생산시설 선진화 | 지속적인 의약품 제조 인프라 투자를 통한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의약품 제조 인프라 구축 |
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(GMP), 품질경영시스템(ISO9001) |
주요 생산장비 예방/개량보전 활동, 순회점검, 관리자 교육, Room Re-Qualification 실시 |
계획서/보고서(건) |
G | [3] 올바른 제품 정보 제공 및 정도 영업 | 올바른 제품 안전 정보 제공, 변칙영업 근절을 위한 점검 및 모니터링, 정도 영업을 위한 교육 실시 | 준법경영시스템(ISO37301) 부패방지경영시스템(ISO37001) CP실무협의회 |
윤리강령 이행 자율준수프로그램(CP) 운영 |
CP등급평가 획득 |
S | [4]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문화 확산 | 사업장 환경 개선 및 재해, 안전사고 예방 노력(안전관리 역량 강화, 설비 안전성 유지 등) | 안전보건경영시스템(ISO45001) 안전보건위원회 |
중대재해처벌법 이행점검위험성 평가 | 산업재해율(%) |
E | [9] 수자원 및 폐기물 관리 | 폐수 처리 및 용수 사용 효율화. 폐기물 배출량 저감 및 재활용 확대 | 환경경영시스템(ISO14001) 환경경영위원회 |
폐수처리시설 관리 고도화 폐기물 배출 교육 및 모니터링 |
용수 사용량(ton) 폐기물 재활용 비율(%) |
S | [12]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| 경제, 사회, 환경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협력사 관리 강화 및 재무/비재무적 지원 활동, 협력사 소통 활성화 | ESG위원회 및 실무진 | 주요 협력사 대상 인권, 환경 등 체계 점검 | 협력사 점검 실적(건) |
E | [13] 수질 및 대기오염물질 관리 |
수질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및 배출 오염물질의 적합한 처리 및 관리 |
환경경영시스템(ISO14001) 환경경영위원회 |
자체 강화된 관리기준 마련 주요 환경 이슈 모니터링 |
수질오염물질 배출량(ton) 대기오염물질 배출량(ton) |
S | [15] 인재 확보 및 임직원 역량 강화 | 우수 인재 확보 및 임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각종 교육 제공, 인적 자본 효율성 증진 활동 | ESG위원회 및 실무진 | 직무역량 강화 교육 직무 스킬 관리 프로그램 개발 해외 우수인재 확보 |
교육 시간(시간) 교육 효과성 지표(점) |
※ ISSB(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 Board,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) Framework인 거버넌스, 전략, 리스크 관리, 지표 및 목표에 따라 중대 이슈를 분석 |